우리의 국토에서 대부분은 농촌지역입니다. 더 늘어나지 않는 이 농촌 안에서 우리 국민들이 숨쉬고, 일하고, 즐기며 살아가고 있습니다. 그 안에는 자연이 있으며, 많은 생태공간을 가지고 있습니다. 이 공간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살아가야하는 터전이며, 우리가 지켜야 할 공간이고, 살아가는 데 필요한 먹거리를 생산하는 공간입니다. 지역건설공학과는 먼저 이 아름다운 공간에 사람들이 편안하게 잘 살 수 있도록 하는 즉, 삶의 질을 높이는 학문을 하며, 잘 살기 위해 필요한 생산공간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학문을 연구하고, 이를 적용하여 행복한 공간을 만들어 내는 공부를 합니다. 이를 위해 필요로 하는 친환경 마을개발과, 농촌의 생태와 환경, 농촌지역의 첨단 생산을 지원하는 건설공학을 배웁니다.
더 나아가 미래의 지역건설공학과는 우리나라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 체계와 첨단 생산기반 시설 구축으로 웰빙 먹거리 개발을 지원하고, 현지 실정에 맞는 우리의 농촌마을 개발기술을 통한 국민의 삶의 질 개선을 넘어 범세계적으로 전파되어 나갈 것입니다.
졸업 후 진로
농업생산기반 조성과 농업생산시설 설계에 관련된 토건분야, 외 지역개발과 관련된 건설 분야, 농촌마을 설계와 관련된 컨설팅 분야, 환경보존과 관련된 연구 분야 등에서 더 큰 우리나라의 행복을 위해 일하게 됩니다.
국가기관
농림축산수산부, 국토해양부, 환경부, 농촌진흥청, 충청북도 등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
교육분야
대학 교원, 중고등학교 교원
민간 건설분야(건설회사)
삼성, 현대건설, 대우건설, 대림건설, GS건설, 계룡건설 등 건설회사
국가 투자기관(공사)
한국농어촌공사, 한국수자원공사, 한국도로공사, 한국LH공사, 충북개발공사 등 공공기관
국가 연구분야(연구원)
농어촌연구원, 한국농촌경제연구원, 한국건설기술연구원, 국립환경연구원, 국토개발연구원, 한국철도기술연구원, 한국해양연구원 등
민간 설계분야(엔지니어링 회사)
삼성엔지니어링, 대우엔지니어링, 도화엔지니어링, 유신설계공단 등 설계, 감리회사
지역개발분야(컨설팅회사)
(주)인포마스터, (주)명소, (주)누리넷, (주)마을디자인, 지역아카데미, (주)메모리얼 등 마을설계 컨설팅 회사